본문 바로가기
각종정보

주식 전망 조심하고 또 조심해야 할 시기!

by 쏘쏘한하루 2022. 6. 17.
반응형

경제의 흐름


현재 경제는 물가가 계속 상승하는 추세이기에 미국 연준을 통해 6월 16일 자로 자이언트 스텝(+0.75%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했다. 그리고 다음 달인 7월에도 높은 확률로 금리인상을 예고하고 있다. 물가의 상승으로 인플레이션을 막으려면 금리를 인상시켜야 하며, 이는 시장의 침체로 이어진다. 연준에서는 이러한 우려를 감안하면서라도 지나친 물가상승을 억제하려는 정책을 내세우고 있다. 그럼 우리의 주식시장은 어떻게 될까? 그리고 부동산은 어떻게 될까? 한번 예측해보도록 하자.

 

주식시장의 변화


주식시장은 2020년 3월 코로나로 인한 엄청난 하락과 동시에 2021년 2분기까지 줄기차게 상승을 이어오다 다시 현재까지 하락세를 지속하고 있다. 아마 2020년 큰 상승을 통해 주식과 코인으로 돈 벌었다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이때 처음으로 주식시장에 유입된 초보 개미들의 자금이 대거 유입되며, 한동안 호황기를 누렸으나 하락세의 전환으로 공매도가 유입되며, 점점 흐름은 바닥으로 내려가는 중이다. 대거 유입된 개미들의 자금들은 대출이나 신용으로 이뤄진 경우가 많고, 지속적인 하락세로 버티지 못한 개미들의 반대매매가 나오면서 현재는 증시 반등의 여지가 미미하다. 더불어 금리인상과 전쟁 문제로 인한 원자재 가격의 상승, 식량문제 등으로 경제상황은 상당히 악화되고 있다.

 

영끌족의 위기


주식시장의 호황기와 더불어 부동산 시장도 몇 배씩 상승하는 호황기를 누리면서, 뒤늦게 아파트를 영혼까지 끌어모아 매입한 영끌족들이 현재 큰 위기에 봉착해 있다. 금리가 매월 0.75%씩 인상되면서 주택담보대출 원리금 상환금이 껑충 치솓고 있기 때문이다. 설상가상으로 부동산 시세 또한 하락세를 이어가면서 급매가 아닌 경우에는 매매가 잘 이뤄지지 않는 상황이다. 2022년 12월 기준으로 약 3% 이상의 금리인상이 예상되고 있으며, 월급의 70% 이상이 대출금으로 상환되는 영끌족들이 과연 이 상황을 어떻게 타개할 수 있을지 사회적으로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예상되는 시나리오


1) 매월 지속적인 금리인상으로 영끌족들의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늘어나며 다수의 채무불이행이 발생한다.

    (한국판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발생우려 있음.)

2) 채무불이행을 막기위해 현재 살고 있는 집을 급매로 매매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최대한 대출을 줄이고자 빌라 혹은 대출을 최소화하여 거주지를 마련하는 사람들이 늘어난다. (전세수요 증가, 빌라 수요 증가)

3) 대출을 통해 주식이나 코인을 매입하였던 사람들은 자금을 회수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금리가 인상되며 안정적인 은행에 자금이 몰려든다.

4) 주식투자금이 빠져나가고, 금리가 인상되며 지속적으로 주가는 하락하게 된다. 

5) 주식과 코인시장의 장기 침체가 진행될 수 있다.

 

언젠가는 상기 부정적인 시나리오들을 지나 상승이 시작될 수 있으나, 현 상황에서는 굉장히 조심해야 할 시점이므로 한 가지 종목을 믿고 투자하는 방식보다는 전체 경제 흐름을 보고 투자를 하는 것이 좋겠다.

반응형

댓글